역사여행 8

창덕궁 방문기 (2) - 인정전 -

인정문을 지나서 안쪽으로 들어가면 창덕궁의 중심건물-정전인 인정전이 나온다. 중요한 국가적 의식을 치르던 곳이다. 앞쪽으로 의식을 치르는 마당인 조정(朝廷)이 펼쳐져 있고, 뒷쪽으로는 북한산의 응봉으로 이어져 있다. 마당에 품계석이 있지만, 경복궁에 비하면 일단 마당자체의 면적이 작다. 조선 후기에는 경복궁을 복원하지 못했기 때문에 창덕궁이 법궁으로서 중요행사들을 치루게 되면서 인정전의 역할이 커졌지만, 앞마당의 면적도 작고 건물자체도 작아졌기 때문에 참석인원을 제한하는 등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마당인 조정에는 품계석이 놓여있다. 정조 때 조정의 위계질서가 문란해졌다고하여 신하의 품계에 따른 비석을 세우게 된 것인데, 좌우에 늘어선 품계석은 문무백관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로 문무관으로 각각 18품계를 ..

카테고리 없음 2023.09.10

창덕궁 방문기 (1) - 돈화문을 지나서 인정문까지

창덕궁의 북쪽, 창경궁과의 경계에서 위로 더 올라가면, 면적 10만 3000여 평의1963년 사적으로 지정된 창덕궁안에 있는 조선시대 정원인 후원이 나온다. 흔히 비원(祕苑)이라 불리는 곳이다. 이곳은 조선왕궁의 놀이와 잔치 장소로 활용된 대표적인 유적이다. 1997년 창덕궁과 이 후원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쉽게 말해 왕실의 사적인 공간이라는 뜻인데, 조선시대에는 왕은 거의 국가이고, 왕의 모든 행위와 일상은 전혀 사적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이 곳에도 정치와 관련된 시설들이 위치해있다. 후원은 특별관람을 회차별로 예약을 해서 들어갈 수 있다. https://ticket.uforus.co.kr/web/main?shopEncode=&productGroupCode=02000005&lang..

여행기 2023.09.09

사자산 법흥사 (獅子山 法興寺)

영월 수주면 사자산(獅子山) 자락 법흥사에는 신자들의 순례가 끊이지 않으니 바로 적멸보궁(寂滅寶宮)이 있음이다. 적멸보궁(寂滅寶宮) 이란 ? “석가모니 부처님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봉안한 대신 불상을 모시지 않는 불전(佛殿). 부처님의 분신과 다름없는 사리를 모시고 있기 때문에 전(殿)이나 각(閣)보다 상위개념 인 궁(宮)이라 하였고, 그도 모자란지 하나 더 올려 보궁(寶宮)이란 이름을 붙였다. 보궁(寶宮)의 기원은 석가모니가 대각(大覺) 후 최초의 적멸도량회를 열었던 마가다국 가야성 남쪽 보리수 아래 금강좌(金剛座)에서 비롯된다. “- 이상 불교용어사전에서. 우리나라에는 5대 적멸보궁(寂滅寶宮) 있으니, 영축산 통도사, 오대산 월정사, 설악산 봉정암, 사자산 법흥사, 태백산 정암사 다. 이 정도 사전..

여행기 2023.08.20

선정릉 - 정릉(靖陵) - 중종

삼성동 선정릉(宣靖陵)에는 필자가 먼저 글 ‘선릉’ 에서 소개한 성종(成宗)과 그 계비(繼妃) 정현왕후(貞顯王后)의 능 뿐 아니라, 제 11대 중종(中宗)의 정릉(靖陵)이 또 있다. 사진 : 구글로 본 선정릉. 입구에 성종의 선릉이 있고 그 안쪽에 중종의 정릉(靖陵)이 건좌손향(乾坐巽向)-북서에서 남동을 바라보고 있다. * 중종은 연산군을 쫒아내고 집권한 조선의 11대왕이다. 연산군의 이복형제였으며 초기에는 중종반정의 공신들에게 휘둘렸으며 이들을 견제하고자 그 유명한 "조광조"를 등용하여 왕권을 강화해보려했지만, 그 조광조도 말을 안듣기는 마찬가지였다. 결국 훈구파와 조광조로 대표되는 사림파를 적당히 균형있게 견제하다가 여러차례 사화를 일으켜 옥사와 피바람을 일으켰다. 집권기 내내 이런저런 잡음이 컸으니..

여행기 2023.08.16

봉정사 영산암(靈山庵)의 흥미로운 벽화(壁畵)들 (경북 안동,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천등산 기슭에 있는 봉정사(鳳停寺)는 682년(신문왕 2) 의상(義湘)이 창건한 절로 알려져 왔으나, 1972년 극락전에서 상량문이 발견됨으로써 672년(문무왕 12) 능인(能仁) 대사가 창건했음이 밝혀졌다. 천등굴에서 수학하던 능인 대사가 도력으로 종이로 봉(鳳)을 만들어 날렸는데, 이 봉이 앉은 곳에 절을 짓고 봉정사라 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창건 후 능인은 이 절에다 화엄강당(華嚴講堂)을 짓고 제자들에게 전법(傳法)하였다 한다. 능인대사가 의상대사의 제자이니 창건설화가 구전되어 오다가, 능인대사에서 의상대사로 와전되었을 수도 있겠다. 봉정사의 영산암은 지조암과 함께 봉정사의 부속암자로 응진전, 영화실, 송암당, 삼성각, 우화루·관심당 등 5동으로 이루어져 있고, 건물의 구체적인 건립연대는 알 수 없..

여행기 2023.08.09

광해군묘(光海君墓)

광해군은 왕위에서 쫓겨난 지라 그 묻힌 곳의 이름은 능(陵) 도 아니고, 원(園) 도 아닌 묘(墓) 다 남양주 시청 못 미처 금곡사거리에 고종/순종황제의 릉(陵)인 홍유릉 표시가 보이면 여기서 반대편 - 사릉(思陵) 쪽으로 꺾는다. 금곡사거리에서 좌회전 받은 뒤 약 1.5km 뒤 송능삼거리가 나오고 광해군 묘는 여기서 우회전 해야 한다. (삼거리에서 직진하면 단종비(端宗妃) 송씨의 릉인 사릉(思陵이 곧 나온다) 송능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송능천을 따라 약 2km 들어가면 영락교회 (공원묘지) 돌문이 왼쪽으로 보이고 그 옆에 광해군묘 (光海君墓) 안내판이 있다. 안내판 대로 영락교회 공원묘지로 들어가 약 500 m 정도 꼬불꼬불 산길을 가면 오른쪽에 광해군묘 (光海君墓) 입구가 보인다. 조금 더 가면 영락교..

여행기 2023.07.18

창경궁 문정전(文政殿)과 사도세자

창경궁 정문 홍화문을 들어가면 옥류천이 흐르고 옥천교 다리가 걸려 있다. 다리 건너 명정문 안에 들어서면 궁의 정전 명정전(明政殿)이 버티고 있고 명정전 왼쪽에 문정전(文政殿)이 있다.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창경궁 설경 영상 왼쪽으로 팔작지붕 합각이 보이는 건물이 문정전이다. 명정전이 조회(朝會) 등 공식 행사를 하는 정전(正殿)이라면 문정전은 평상시 신하들과 함께 정무를 보던 편전(便殿)이다. 경복궁에서 정전은 근정전이고 편전은 사정전이다. 일제(日帝)가 창경궁을 훼손할 때 철거된 것을 1986년 다시 지었다. 임금 자리 뒤에 일월오봉병(日月五峯屛)이 쳐져 있을 뿐 별다른 장식이 없다. 임금이 창경궁에 임어(臨御) 할 때면 이곳이 어전회의가 열리는 공간이다. 삼정승 육판서가 죽 앉아 회의하면 그걸 또 사..

여행기 2023.07.16

길상사(吉祥寺) - 관음 보살과 성모 마리아

일요일 아침 처가집에 불사(佛事)가 있어, 길상사(吉祥寺)엘 갔다. 신도들이 몰려들긴 아직 이른 시간이라 경내에는 몇 사람 없다. 앗! 짜장전! 이것은 건물 배치 팻말을 보던 조카가 뱉어낸 소리였다. 윽..짜장이라니 다름아닌 지장전(地藏殿)을 두고 말함이었다. 군대까지 다녀온 녀석 머리 속에 지장(地藏)이란 개념은 전혀 없이 짜장만 입력되어 있다니. 계단을 올라서면 극락전(極樂殿)이 있고, 극락전을 마주 보고 마당 왼편에 조각상이 하나 서 있다. 그런데 관음(觀音)이야? 마리아야? 절에 있으니 볼 것도 없이 관음(觀音)이겠지만 조각이 풍기는 분위기는 바로 마리아였다. 대체 어찌 된 일일까? 해설판을 읽어 본다. 최종태란 분이 조각했다고 하여, 인터넷에서 인물검색을 해보니 전(前) 서울대 교수에 천주교 신..

여행기 2023.07.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