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 4

임진왜란 1회전 , 탄금대 전투 (1) - 전투 사전 준비

1592년 4월 13일 쓰시마를 출발한 일본군은 부산과 동래를 함락시킨 후 파죽지세로 북상한다. 부산진-동래 전투는 조선의 예상 밖의 대규모 병력을 상륙시킨 일본군에게 지속적으로 격파당하였다. 거침없이 북상하는 일본군은 4월 28일 충주에서 신립의 병력과 조우한다. 임진왜란 초기 최대의 전투이자 조선군에게 막대한 손실을 안긴 것이 바로 탄금대 전투이다.일단 조선군과 조선 조정은 바보는 아니었고, 엄청나게 무능력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임진왜란 초기의 지속적인 패전은 초기 대전략의 거대한 실패에 기인한다.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제일 큰 원인은 바로 일본군 병력과 일본의 국력 판단에 커다란 오차가 있었던 탓이다.일단 일본의 전체 동원가능한 병력 총 47만으로 추산되는데, 조선은 이 숫자를 알지 못했다. ..

역사이야기 2024.06.23

임진왜란 - 0. 전쟁의 서막 (당시 한중일 3국의 군사력-국력비교)

조선군임진왜란이 발발하기 2년 전 일본의 요청에 따라 조선 정부는 조선통신사를 일본에 파견했다. 이때 통신사가 가져온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서신을 통해 조선을 침략할 것임을 분명히 밝혔다.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는 선조에게 조선과 명나라를 침입할 것임을 서신을 통해 알렸다. 조선통신사가 선조에게 전한 서신 내용은 다음과 같다.비록 사람이 세상에 살면서 오래 산다 해도 예로부터 백 년을 넘지 못하는데 어찌 답답하게 이곳에만 머무를 수 있겠습니까? 나는 나라가 산과 바다로 막혀 멀리 있음에도 개의치 않고 한번에 뛰어서 곧바로 대명국에 들어가 우리나라의 풍속을 4백여 주에 심어 놓고, 교토의 다스림과 교화를 억만년토록 시행하고자 하는 것이 나의 마음입니다. 귀국이 앞장서서 입조한 것은, 앞일을 깊이 헤아린..

역사이야기 2023.07.29

목릉(穆陵)-선조(宣祖)의 무덤

목릉(穆陵)은 조선 14대 선조대왕(1552 生, 재위 1567-1608)의 능(陵)으로 대왕과 함께 원비(元妃) 의인왕후(懿仁王后) 박씨 (1555-1600), 계비(繼妃) 인목왕후(仁穆王后) 김씨 (1584-1632)의 능침이 같이 있다. 드라마의 영향인지 선조(宣祖)에 대한 세간의 평가는 아주 낮다. 그러나 드라마는 실재로 일어난 일이 아니다. 등장인물과 극중 사건이 대부분 실재라도 결국 배경 소도구일 뿐 전체적으로 허구의 이야기다.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지난 날 이 나라를 움직이던 이들이 우리 보다 덜 똑똑하거나, 미친 사람들이 아니라는 점이다. 또 오늘 우리가 아는 정보를 당시는 왜 몰랐느냐고 나무라는 것은 공정한 일이 아니다. 후궁 계통으로 처음 즉위 1567년 명종대왕이 재위 22년 만..

여행기 2023.07.23

광해군묘(光海君墓)

광해군은 왕위에서 쫓겨난 지라 그 묻힌 곳의 이름은 능(陵) 도 아니고, 원(園) 도 아닌 묘(墓) 다 남양주 시청 못 미처 금곡사거리에 고종/순종황제의 릉(陵)인 홍유릉 표시가 보이면 여기서 반대편 - 사릉(思陵) 쪽으로 꺾는다. 금곡사거리에서 좌회전 받은 뒤 약 1.5km 뒤 송능삼거리가 나오고 광해군 묘는 여기서 우회전 해야 한다. (삼거리에서 직진하면 단종비(端宗妃) 송씨의 릉인 사릉(思陵이 곧 나온다) 송능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송능천을 따라 약 2km 들어가면 영락교회 (공원묘지) 돌문이 왼쪽으로 보이고 그 옆에 광해군묘 (光海君墓) 안내판이 있다. 안내판 대로 영락교회 공원묘지로 들어가 약 500 m 정도 꼬불꼬불 산길을 가면 오른쪽에 광해군묘 (光海君墓) 입구가 보인다. 조금 더 가면 영락교..

여행기 2023.07.18
반응형